QT

느헤미야 10:32-39

10:32 우리가 또 스스로 규례를 정하기를 해마다 각기 세겔의 삼분의 일을 수납하여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쓰게 하되

10:33 곧 진설병과 항상 드리는 소제와 항상 드리는 번제와 안식일과 초하루와 정한 절기에 쓸 것과 성물과 이스라엘을 위하는 속죄제와 우리 하나님의 전의 모든 일을 위하여 쓰게 하였고

10:34 또 우리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백성들이 제비 뽑아 각기 종족대로 해마다 정한 시기에 나무를 우리 하나님의 전에 바쳐 율법에 기록한 대로 우리 하나님 여호와의 제단에 사르게 하였고

10:35 해마다 우리 토지 소산의 맏물과 각종 과목의 첫 열매를 여호와의 전에 드리기로 하였고

10:36 또 우리의 맏아들들과 가축의 처음 난 것과 소와 양의 처음 난 것을 율법에 기록된 대로 우리 하나님의 전으로 가져다가 우리 하나님의 전에서 섬기는 제사장들에게 주고

10:37 또 처음 익은 밀의 가루와 거제물과 각종 과목의 열매와 새 포도주와 기름을 제사장들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하나님의 전의 여러 방에 두고 또 우리 산물의 십일조를 레위 사람들에게 주리라 하였나니 이 레위 사람들은 우리의 모든 성읍에서 산물의 십일조를 받는 자임이며

10:38 레위 사람들이 십일조를 받을 때에는 아론의 자손 제사장 한 사람이 함께 있을 것이요 레위 사람들은 그 십일조의 십분의 일을 가져다가 우리 하나님의 전 곳간의 여러 방에 두되

10:39 곧 이스라엘 자손과 레위 자손이 거제로 드린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을 가져다가 성소의 그릇들을 두는 골방 곧 섬기는 제사장들과 문지기들과 노래하는 자들이 있는 골방에 둘 것이라 그리하여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전을 버려 두지 아니하리라

 사람 간의 관계가 변함에 따라 함께 변해가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이 바로 호칭의 변화일 것입니다. 단순한 친밀도에 따른 호칭의 변화부터, 남남 이었던 관계가 한 가족이 되며 호칭이 바뀌는 것 까지, 이 호칭은 관계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거리감, 친밀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은 성경에서도 동일하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 속에 있을 때에, 하나님 앞에 바로 선 지도자들이 이스라엘을 이끌어 갈 때에, 그들은 하나님을 ‘우리 하나님’ 이라고 불러 왔습니다. 그리고 그 이름은 솔로몬 이후, 오랜 기간 이스라엘 백성들이 잊고 살던 이름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이 포로기를 마치고 이 땅에 다시 돌아왔을 때, 하나님 앞에 다시 돌아왔을 때에, 비로소 그들은 다시 ‘우리 하나님’ 이라는 호칭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 하였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오늘 십일조를 포함한 많은 재물들을 하나님 앞에 드리기로 다짐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대상은 다른 누구의 하나님도 아닌, 그들의 하나님, 우리 하나님이었습니다. 그렇기에 그들은 그 모든 것을 아끼지 않고 하나님께 드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 하나님이 아닌 누군가의 하나님, 다른 우상에게 바치는 것이었다면 분명 아깝게 여겼을 것들, 하지만 그 하나님이 자신의 하나님, 우리 하나님이심을 알고, 고백하는 백성들에게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아깝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가 고백하는 하나님은 누구의 하나님일까요. 나의 하나님, 우리 하나님이라고 마음을 담아 고백하고 있을까요. 입술로만 고백하는 것이 아닌, 마음을 담아 고백하고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그에 맞게, 우리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라면 아깝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