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열왕기하 15:1~12
15:1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이십 칠년에 유다 왕 아마샤의 아들 아사랴가 왕이 되니
15:2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십 륙세라 예루살렘에서 오십 이년을 치리하니라 그 모친의 이름은 여골리야라 예루살렘 사람이더라
15:3 아사랴가 그 부친 아마샤의 모든 행위대로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으나
15:4 오직 산당은 제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오히려 그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였고
15:5 여호와께서 왕을 치셨으므로 그 죽는 날까지 문둥이가 되어 별궁에 거하고 왕자 요담이 궁중 일을 다스리며 국민을 치리하였더라
15:6 아사랴의 남은 사적과 모든 행한 일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15:7 아사랴가 그 열조와 함께 자매 다윗성에 그 열조와 함께 장사되고 그 아들 요담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15:8 유다 왕 아사랴의 삼십 팔년에 여로보암의 아들 스가랴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여섯달을 치리하며
15:9 그 열조의 행위대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한지라
15:10 야베스의 아들 살룸이 저를 모반하여 백성앞에서 쳐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15:11 스가랴의 남은 사적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15:12 여호와께서 예후에게 말씀하여 이르시기를 네 자손이 이스라엘 위를 이어 사대까지 이르리라 하신 그 말씀대로 과연 그렇게 되니라

 

유다의 왕 아사랴는 하나님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한 사람이라고 평가됩니다만 그는 산당을 제거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이 여전히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고 분향했습니다. 아사랴는 하나님의 명령을 완전히 따르지 못하는 부분적 순종 때문에 결국 나병에 걸려 죽는 날까지 문둥이로 살게 됩니다. 높은 곳에 세운 제단이나 예배 장소를 히브리어로 바마(בָּמָה)라고 하는데 이것이 산당입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들어오기 전부터 가나안 사람들은 이 산당에서 자신들의 종교의식을 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왜 이런 산당을 제거하지 않은 것일까요?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을 정복한 후에 거기서 하나님에게 예배를 드리기도 했습니다. 공간을 합리적으로 사용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종교의식은 예배의 대상까지도 혼합되기 시작했습니다. 일상에서 가장 가깝게 반복하면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자연스러운 삶의 일부가 되었을 것입니다. 관습이 문화가 되어 토착되고 나면 그것을 바꾸기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산당을 제거하는 것에는 종교적이라기보다 심리적인 저항이 따랐을 것입니다.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세금을 걷어 그들의 노동력으로 산당을 해체해야 하는 것에는 정치적인 무리도 따릅니다. 그래서 아사랴도 그것을 제거하는 개혁을 하지 못했습니다.

 

우리나라 교회에 무속적 요소가 자주 발견되는 것도 이스라엘의 산당의 존속과 같은 구조입니다. 십자가를 걸어둔 교회이지만 사실상 점을 치고 굿을 하는 것과 같은 무속적 행위를 하는 곳을 직접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바벨론으로 끌려가기 전의 유대인들은 원래 성전 예배 중심의 종교였습니다. 그런데 바벨론이 성전을 파괴했으니 유대인들은 물리적 환경만 없어진 것이 아니라 신앙을 인식하는 근간이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그래서 바벨론 시대 이후 유대인들은 회당 중심의 예배와 토라 학습을 통해 무형적 신앙생활을 재구축했습니다. 그래서 성전의 파괴는 사실상 지속 가능한 유대교의 신학 체계를 놓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이후에도 성전이 없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종교적 목적에서 파생된 문화적 요소를 마치 본질인 것처럼 집착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상황이 바뀌고 보면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심리적 안정을 주는 습관적이고 문화적인 것 중에는 오히려 신앙의 본질을 찾기 위해서는 파괴하고 제거해야만 하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개혁은 창조적 파괴입니다. 미련 없이 부수어야만 합니다. 물론 전통과 그것이 주는 안정감은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물을 담아야 하는 그릇의 기능에 집중한다면 그릇의 형태는 얼마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수많은 종교적 문화 안에서 살지만 날카로운 분별이 있어야 하고, 변화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