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요한복음 9:35-41
9:35 예수께서 저희가 그 사람을 쫓아냈다 하는 말을 들으셨더니 그를 만나사 가라사대 네가 인자를 믿느냐
9:36 대답하여 가로되 주여 그가 누구시오니이까 내가 믿고자 하나이다
9:37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가 그를 보았거니와 지금 너와 말하는 자가 그이니라
9:38 가로되 주여 내가 믿나이다 하고 절하는지라
9:39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심판하러 이 세상에 왔으니 보지 못하는 자들은 보게 하고 보는 자들은 소경되게 하려 함이라 하시니
9:40 바리새인 중에 예수와 함께 있던 자들이 이 말씀을 듣고 가로되 우리도 소경인가
9:41 예수께서 가라사대 너희가 소경 되었더면 죄가 없으려니와 본다고 하니 너희 죄가 그저 있느니라

 

고침 받은 소경이 유대 사회에서 쫓겨나게 된 것은 자신을 고쳐준 분에 대한 진실을 말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그에게 다시 찾아오셔서「네가 나를 믿느냐」고 물으셨는데 이때 시제는 현재진행과 그 계속을 나타내는 시제입니다. 그러니「이런 불이익 속에서도 계속해서 나를 믿을 수 있겠느냐」라는 질문입니다.

 

고침 받은 소경은 예수님의 질문의 시제와 같은 시제로 대답하였습니다. 한국어로는「내가 믿고자 하나이다」라고 번역하였으니 계속적 의지가 분명히 드러나 있습니다.

 

은혜의 출처는 하나님이지만 그것을 기억하고 고백하는 것을 통해 그 은혜는 사람의 마음 안에 자리 잡습니다. 그것이「믿음」이 됩니다. 그러나 기억하지 않고 고백하지 않고 지나간 은혜는 증발되어 버리고 마음 안에는「교만」만 남습니다. 교만의 이력을 추적해보면 기억하지 않는 은혜가 있습니다.

 

선천성 시각 장애자는 시각적 인지를 할 수 없었지만 자기가 보지 못한다는 사실은 인식했습니다. 그래서 모든 것에 조심스럽고 주위에서 일어나는 작은 소리를 민감하게 듣고 의지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영적 시각 장애의 문제는 정작 보지 못하는데 스스로 보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에 있습니다. 그것이 바리새인들이 진실을 볼 수 없도록 했던 교만의 힘입니다.

 

구원은 양면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믿는 사람에게는 소망이지만 거부하는 사람들에게는 절망입니다. 소망에 해당하는 사람은 배제와 고난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진실대로 기억하고 고백하고자 하는 사람이고 절망에 해당하는 사람은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기 위해 기억과 진실을 왜곡하는 사람입니다.

 

소경과 바리새인의 차이는 자기에서 솔직한 사람과 자기를 속이는 사람의 차이입니다. 차라리 무지하거나 가난했다면 영적인 소경이 되지는 않았겠지만 믿음과 지식의 자부심이 교만이 되고 죄가 되어 소망의 구원 안에 들어 올 수 없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은 바리새인들은「우리도 소경인가」하고 말했는데 그것은 깨달음의 말이 아니고 「뭐래 우리보고 소경이라는 거야」라는 말입니다. 당시 유대교 랍비들은 자신들이야말로 소경들의 눈을 뜨게 해 주는 세상의 빛이라고 자부하고 있었습니다. 자신들은 모세의 제자로서 자신들이 가르치는 이스라엘 사람들은「빛의 아들」이고 이방인들은「어두움의 자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로마서에서 바울이 비판한 바리새인의 모습은 이러합니다. 「네가 율법에 있는 지식과 진리의 규모를 가진 자로서 소경의 길을 인도하는 자요 어두움에 있는 자의 빛이요 어리석은 자의 훈도요 어린아이의 선생이라고 스스로 믿으니 그러면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네가 네 자신을 가르치지 아니하느냐」

 

교만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육적인 교만은 금방 드러납니다. 목이 곧고 말이 짧고 무례해집니다. 그들은 걸음걸이에서 교만함을 솔직히 드러냅니다. 그러나 허리를 잘 숙이고 말을 공손하게 하고 예의 바른 사람들 중에는 겸손의 모양으로 그것을 포장하는 고도의 교만도 있습니다. 영적 교만은 사람들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예수님 앞에 서 있는 바리새인들처럼 말씀 앞에서 어떤 사람인가가 그 사람의 원래 모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