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요한복음 11:17-37
11:17 예수께서 와서 보시니 나사로가 무덤에 있은지 이미 나흘이라
11:18 베다니는 예루살렘에서 가깝기가 한 오 리쯤 되매
11:19 많은 유대인이 마르다와 마리아에게 그 오라비의 일로 위문하러 왔더니
11:20 마르다는 예수 오신다는 말을 듣고 곧 나가 맞되 마리아는 집에 앉았더라
11:21 마르다가 예수께 여짜오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11:22 그러나 나는 이제라도 주께서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구하시는 것을 하나님이 주실 줄을 아나이다
11:23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오라비가 다시 살리라
11:24 마르다가 가로되 마지막 날 부활에는 다시 살 줄을 내가 아나이다
11:25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11:26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이것을 네가 믿느냐
11:27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줄 내가 믿나이다
11:28 이 말을 하고 돌아가서 가만히 그 형제 마리아를 불러 말하되 선생님이 오셔서 너를 부르신다 하니
11:29 마리아가 이 말을 듣고 급히 일어나 예수께 나아가매
11:30 예수는 아직 마을로 들어오지 아니하시고 마르다의 맞던 곳에 그저 계시더라
11:31 마리아와 함께 집에 있어 위로하던 유대인들은 그의 급히 일어나 나가는 것을 보고 곡하러 무덤에 가는 줄로 생각하고 따라가더니
11:32 마리아가 예수 계신 곳에 와서 보이고 그 발 앞에 엎드리어 가로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하더라
11:33 예수께서 그의 우는 것과 또 함께 온 유대인들의 우는 것을 보시고 심령에 통분히 여기시고 민망히 여기사
11:34 가라사대 그를 어디 두었느냐 가로되 주여 와서 보옵소서 하니
11:35 예수께서 눈물을 흘리시더라
11:36 이에 유대인들이 말하되 보라 그를 어떻게 사랑하였는가 하며
11:37 그 중 어떤이는 말하되 소경의 눈을 뜨게 한 이 사람이 그 사람은 죽지 않게 할 수 없었더냐 하더라

 

예수님의 기적 사건 중에서 죽은 나사로를 살리신 사건은 공관복음에는 없습니다. 요한복음에만 유일하게 기록된 사건입니다. 예수님이 마르다를 만나실 때 나사로는 이미 죽어서 무덤에 있은 지 나흘이 지났을 때입니다.

 

예수님은 마리아와 조문객들이 우는 것을 보시고 심령에 통분히 여기시고 민망히 여기셨다고 했습니다. 통분히로 번역된 원어의 본래의 사전적 의미는 콧숨을 거세게 몰아서 내쉬거나 으르렁거리다라는 뜻으로 크게 괴로워하는 모습을 말합니다. 많이 괴로울 때면 그런 소리들이 고통 속에서 새어 나오지요.

 

민망히 여긴다는 말도 그리 정적인 표현은 아닙니다. 어색함을 말하는 민망이 아니고 자신을 뒤흔들다라는 감정적인 홍분 상태나 혼란의 상태를 말합니다. 통분과 민망은 몸이 떨릴 만큼 내적으로 감정의 변화가 격한 상태였습니다.

 

이 통분과 민망의 이유에 대해서 해석이 분분했습니다. 부활이요 생명이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마리아와 사람들이 슬피 우는 것을 보고 그 불신앙을 분통히 여겼다고도 하고 혹자는 예수님이 자신의 십자가의 죽음을 미리 보시고 그것에 공감하여 감정이 격해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비록 지금 부활하게 하신다고 하더라도 죽음과 이별의 감정을 무시하실 분이 아닙니다. 적개심에 가까운 분노를 드러내신 것은 죄와 사망이 사람들을 고통과 슬픔 가운데로 몰아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칼빈은 인간의 죄로 인한 결과인 질병과 죽음의 고통이 예수님의 마음을 심하게 동요하게 했다고 해석했습니다. 예수님의 통분과 민망의 의미는 죄와 사망으로 죽어야 하는 인간에 대한 깊은 동정입니다. 그것으로 슬픔을 이기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애달픈 연민입니다.

 

예수님이 인간의 죽음의 자리로 오셔서 그 죽음의 감정을 공유해 주신 것에 많은 위로를 받습니다. 주위를 돌아보십시오. 육체를 가진 것은 다 불쌍합니다. 죽음을 이길 육체가 없습니다. 그러나 부활의 믿음 안에서 죽음은 힘을 잃고 죽습니다. 성도가 죽는 것은 부활하기 위한 것입니다. 부활을 믿지 않는 것은 자신의 죽음을 아직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조문객들에게 식사로 둥근 빵과 계란과 그리고 둥근 렌즈콩을 준다고 합니다. 지금 살아 있지만, 모두가 죽음으로 굴러가는 처지임을 깨달으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예수님이 오신 이 세계는 죽음의 세계였습니다. 예수님은 죽음의 세계에 생명을 주시고자 부활을 가지고 오신 하나님입니다 .

 

임종의 현장이나 장례식에 가서는 할 말을 찾을 수 없어 난감합니다. 거기서 설교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습니다. 어떤 말도 아무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할 말이 없습니다. 죽음 앞에서 살아 있는 자가 할 수 있는 말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설교를 하라고 하면 부활을 말하겠습니다. 죽음을 이기는 힘은 오직 부활의 믿음 밖에 없습니다. 죽음은 모든 것을 끝내지만 부활은 사망의 권세를 이깁니다. 에고 에이미 여섯번 째는 부활이요 생명입니다. 알고 지낸 사람의 임종과 장례식에서 부활을 마음껏 말하지 못해서 증폭된 슬픔으로 통분의 눈물이 날까봐 그것이 두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