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19-28
1:19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에서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을 요한에게 보내어 네가 누구냐 물을 때에 요한의 증언이 이러하니라
1:20 요한이 드러내어 말하고 숨기지 아니하니 드러내어 하는 말이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라 한대
1:21 또 묻되 그러면 누구냐 네가 엘리야냐 이르되 나는 아니라 또 묻되 네가 그 선지자냐 대답하되 아니라
1:22 또 말하되 누구냐 우리를 보낸 이들에게 대답하게 하라 너는 네게 대하여 무엇이라 하느냐
1:23 이르되 나는 선지자 이사야의 말과 같이 주의 길을 곧게 하라고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로라 하니라
1:24 그들은 바리새인들이 보낸 자라
1:25 또 물어 이르되 네가 만일 그리스도도 아니요 엘리야도 아니요 그 선지자도 아닐진대 어찌하여 세례를 베푸느냐
1:26 요한이 대답하되 나는 물로 세례를 베풀거니와 너희 가운데 너희가 알지 못하는 한 사람이 섰으니
1:27 곧 내 뒤에 오시는 그이라 나는 그의 신발끈을 풀기도 감당하지 못하겠노라 하더라
1:28 이 일은 요한이 세례 베풀던 곳 요단 강 건너편 베다니에서 일어난 일이더라
‘너 자신을 알라’ 라는 철학계의 유명한 명언이 있습니다. 하지만 철학의 본래 의미가 그러하듯이, 단순히 철학이라는 학문을 넘어, 우리의 삶의 모든 부분에서 이 말, 자신을 아는 것은 너무나도 중요한 일입니다. 너 자신을 알라의 동양 버전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역시 적을 아는 것만이 아닌, 자기 자신을 아는 것 까지가 백전백승의 조건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신을 아는 것은 우리의 믿음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자신의 존재를 명확하게 알아야만 하나님 앞에 겸손하여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자신을 알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해 많은 신학자들이 말하는 것은, 자신에 대해 알기 위하여서는 먼저 하나님을 알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자기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정확히 알고, 그 역할에 순종하였던 오늘 본문의 세례 요한은, 자기 자신을 아는 것과 동시에, 하나님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자기의 뒤에 오실 이, 그리스도와 그의 행하실 일들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오늘 바리새인들이 보낸 사람들이 세례 요한에게 질문하였듯이, 세상은 끊임없이 우리 개개인에게, 그리고 교회에게 ‘네가 누구냐’ 라며 질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해 그들 뿐만이 아닌, 우리 스스로에게, 그리고 하나님께도 답변해야만 합니다. 우리는 대체 누구입니까. 우리의 하나님, 예수님은 대체 어떤 분이십니까.
해답은 언제나 하나님께 있습니다. 하나님만이 우리를 만드시고, 우리의 길을 계획하시고, 인도하시는, 우리에 대해 가장 자세한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우리에게 자신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 자신에 대해 알려주시고, 그를 통해 우리의 존재에 대해 알려주십니다.
2025년이 시작되었습니다. 한 해의 바람, 또는 목표를 세워가는 이 시간에, 하나님을 알고 나를 아는 것, 그것을 위해 하나님의 말씀과 더욱 친밀해지는 한 해의 바람이, 목표가 함께 세워졌으면 좋겠습니다.
https://youtu.be/v6EXq6fZXNI?si=x-Id94vXImayQI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