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7:14-24
7:14 이미 명절의 중간이 되어 예수께서 성전에 올라가사 가르치시니
7:15 유대인들이 놀랍게 여겨 이르되 이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였거늘 어떻게 글을 아느냐 하니
7:16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 교훈은 내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것이니라
7:17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이 교훈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는지 내가 스스로 말함인지 알리라
7:18 스스로 말하는 자는 자기 영광만 구하되 보내신 이의 영광을 구하는 자는 참되니 그 속에 불의가 없느니라
7:19 모세가 너희에게 율법을 주지 아니하였느냐 너희 중에 율법을 지키는 자가 없도다 너희가 어찌하여 나를 죽이려 하느냐
7:20 무리가 대답하되 당신은 귀신이 들렸도다 누가 당신을 죽이려 하나이까
7:21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한 가지 일을 행하매 너희가 다 이로 말미암아 이상히 여기는도다
7:22 모세가 너희에게 할례를 행했으니 (그러나 할례는 모세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조상들에게서 난 것이라) 그러므로 너희가 안식일에도 사람에게 할례를 행하느니라
7:23 모세의 율법을 범하지 아니하려고 사람이 안식일에도 할례를 받는 일이 있거든 내가 안식일에 사람의 전신을 건전하게 한 것으로 너희가 내게 노여워하느냐
7:24 외모로 판단하지 말고 공의롭게 판단하라 하시니라
예수님의 시대에 전문적인 배움의 기회는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상류층이나 특별한 사람들, 유대인들 중에서는 그들의 전문 학당에 들어가야만 ‘배웠다’ 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께서 배우지 않았다는 것, 어떻게 글을 아느냐는 표현은 이러한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언어, 히브리어로 성경을 읽어야 하며, 그것을 무엇보다 중요시 여기고 자녀들을 교육시키기 때문에, 글을 전혀 읽을 수 없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예수님이 어떻게 글을 아느냐 라는 표현은, 어떻게 자신들의 유대인 학당에서 배운 것만 같이 해석할 수 있느냐, 가르칠 수 있느냐 라는 것입니다. 이렇듯 당시 예수님의 가르침은 단순히 성경을 읽고, 그 예언을 되새기는 것을 넘어, 그 말씀에 대해 전문적으로 배우는 자들이 보아도 뛰어난 것으로, 사람의 가르침이 아닌 것으로 보일 정도의 가르침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그저 당연한 일입니다. 예수님은 자기 자신에 대한 말씀, 그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전하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오늘 본문의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자랑하는 학당에서 수준급의 교육을 받아왔을 것입니다. 그리고 훗날에는 율법학자로서, 누군가는 제사장과 대제사장으로 유대인의 지도자로서 성장할 자들이었을 것입니다. 그런 자들에게, 시골 마을 출신의 예수님께서 너희 중에 율법을 지키는 자가 없다 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들은 모세의 율법을 배우고, 그에 따라 살면서도, 진정한 율법을 지키지 못하였습니다. 그들은 그 율법의 진정한 의미를 알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배움은 헛된 배움 이었던 것입니다.
우리의 배움 역시 언제든 헛된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배움은 글자를 넘어 머리로 이해하고,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삶으로 살아낼 때에 비로소 진정한 배움의 의미가 나타납니다. 그 삶을 통하여서 예수 그리스도를 드러낼 때에, 우리가 배운 것이 헛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배웠습니까. 우리는 왜 배웠습니까.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구원을 위하여 배웠습니다. 배웠기에 확신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며, 그 배운 것을 실천하고 살아내며,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야 합니다. 우리가 그것을 위해 배웠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