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3:21~30
13:21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심령에 민망하여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리라 하시니
13:22 제자들이 서로 보며 뉘게 대하여 말씀하시는지 의심하더라
13:23 예수의 제자 중 하나 곧 그의 사랑하시는 자가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누웠는지라
13:24 시몬 베드로가 머릿짓을 하여 말하되 말씀하신 자가 누구인지 말하라 한대
13:25 그가 예수의 가슴에 그대로 의지하여 말하되 주여 누구오니이까
13:26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한 조각을 찍어다가 주는 자가 그니라 하시고 곧 한 조각을 찍으셔다가 가룟 시몬의 아들 유다를 주시니
13:27 조각을 받은 후 곧 사단이 그 속에 들어간지라 이에 예수께서 유다에게 이르시되 네 하는 일을 속히 하라 하시니
13:28 이 말씀을 무슨 뜻으로 하셨는지 그 앉은 자 중에 아는 이가 없고
13:29 어떤이들은 유다가 돈 궤를 맡았으므로 명절에 우리의 쓸 물건을 사라 하시는지 혹 가난한 자들에게 무엇을 주라 하시는 줄로 생각하더라
13:30 유다가 그 조각을 받고 곧 나가니 밤이러라
가룟 유다가 예수님을 배신합니다. 이 본문은 해석과 이해가 어렵습니다. 이야기의 흐름은 알겠지만, 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습니다. 가룟 유다가 본인의 의지로 예수님을 배신한 것인지 예수님이 가룟 유다를 이용하신 것인지, 가룟 유다에게 사탄이 들어왔다면 예수님은 왜 그것을 막아주시지 않으셨는지, 그는 원래 그런 역할로 정해진 것인지, 아니면 그의 의지적인 결과인지, 그는 지금 어디에 있는지… 어떤 답을 내려도 그 반대의 질문에 완전하게 대답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퍼즐은 하나님이 알고 계시고 우리는 부분밖에 보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것에 자신 있게 답을 할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다만 우리는 가룟 유다의 역할, 즉 예수님이 십자가로 가는 길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많은 역할과 사건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억울하게 죽었다는 것은 예수님에게 죄가 없다는 말이지 십자가에서 죽은 것이 억울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은 그것을 위해서 오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그것을 통해서 구속을 완성하실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이들의 음모와 배신조차도 구속사를 이루어 가실 때 하나의 퍼즐이 된 것은 분명합니다. 그렇다고 그들이 강제된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 퍼즐 조각을 잡지 않으려고 했다면 잡지 않았을 것입니다. 사람이 하나님의 사명을 받지 않으면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통해서 일하십니다. 자유의지는 사명 앞에도 멸망 앞에도 동일하게 주어져 있습니다.
유다는 예수님의 예언대로 무언가 한 조각을 받아들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요한복음에는 성찬에 대한 내용이 없지만 다른 복음서를 참고해서 시간을 흐름을 생각해 보면 유다가 받은 것은 빵 조각이었고 그 빵은 곧 시작될 성찬에 사용될 유월절 빵이었을 것입니다. 그리스도와 연합하기 위한 주님의 살이지만 유다에게는 예수님을 배신하고 팔아먹을 표시가 되었습니다. 똑같은 빵이라도 용도가 달랐습니다.
유다가 예수님을 팔았던 것으로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고 상황이 뒤집힘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구속사는 역사 안에서 거대하게 흘러가고 유다는 그 한 조각의 삶을 살았을 뿐입니다. 왜 유다였는지 그것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무엇이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내가 아는 것은 나의 믿음과 삶도 한 조각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의 선과 악, 믿음과 불순종이 하나님의 퍼즐을 바꾸지 못합니다. 오직 자신의 퍼즐 조각이 어디에 들어가야 할지 각자가 두려움으로 살아야 하는 것뿐입니다. 빵 한 조각, 은 삼십 세겔 들고 배신하는 삶을 살지 않아야 합니다. 믿음의 자리에서 진실과 양심의 한 조각으로, 부끄럽지 않은 조각으로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