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6:16~24
16:16 조금 있으면 너희가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 하신대
16:17 제자 중에서 서로 말하되 우리에게 말씀하신바 조금 있으면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 하시며 또 내가 아버지께로 감이라 하신 것이 무슨 말씀이뇨 하고
16:18 또 말하되 조금 있으면이라한 말씀이 무슨 말씀이뇨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알지 못하노라 하거늘
16:19 예수께서 그 묻고자 함을 아시고 가라사대 내 말이 조금 있으면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 하므로 서로 문의하느냐
16:20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하리라 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
16:21 여자가 해산하게 되면 그 때가 이르렀으므로 근심하나 아이를 낳으면 세상에 사람 난 기쁨을 인하여 그 고통을 다시 기억지 아니하느니라
16:22 지금은 너희가 근심하나 내가 다시 너희를 보리니 너희 마음이 기쁠 것이요 너희 기쁨을 빼앗을 자가 없느니라
16:23 그 날에는 너희가 아무 것도 내게 묻지 아니하리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무엇이든지 아버지께 구하는 것을 내 이름으로 주시리라
16:24 지금까지는 너희가 내 이름으로 아무 것도 구하지 아니하였으나 구하라 그리하면 받으리니 너희 기쁨이 충만하리라
예수님은 십자가의 날이 다가오고 있음을 제자들에게 말씀하시지만, 제자들은 그 뜻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성령이 임하시면,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해 내고, 십자가의 죽음이 실패가 아니라 승리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들에게는 악몽 같았던 십자가가 사실은 하나님의 위대한 사랑의 표현이었음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지금은 알 수 없는 십자가의 비밀을 미리 고지하고 계십니다.
복음을 알기 전에는 십자가가 저주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복음을 알고 나면, 십자가는 안도이며 기쁨이고 감사입니다. 예수님은 「그 기쁨을 아무도 빼앗을 수 없다 16:22」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이 십자가의 역설입니다. 십자가의 고난 끝에는 부활이 있으며, 끝이라고 생각했던 절망 뒤에는 구원의 소망이 찾아옵니다. 「항상 기뻐하라」는 말씀은 단순한 감정적 기쁨을 유지하라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기쁨을 날마다 새롭게 갱신하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예수님은 십자가를 여인의 출산에 빗대어 설명하셨습니다. 「여자가 해산하게 되면, 그때가 이르렀으므로 근심하나 아이를 낳으면 세상에 사람 난 기쁨으로 말미암아 그 고통을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느니라 16:21」 해산의 시간이 다가오면 여성은 두려움과 극심한 고통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생명을 가진 아기가 탄생하는 순간, 그 두려움은 안도와 기쁨으로 변하고, 그 고통은 더 이상 기억되지 않습니다.
바울도 이 출산의 비유를 사용하여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갈라디아서에서 성도들과 교회를 세우는 일을 해산하는 수고로 표현했습니다. 「나의 자녀들아,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이루기까지 다시 너희를 위하여 해산하는 수고를 하노니 갈라디아서 4:19」 해산의 두려움과 고통을 지나야 생명이 탄생하고, 해산의 수고를 온전히 감당해야 교회와 성도가 세워집니다. 십자가의 길 끝에는 부활이 있고, 해산의 고통 끝에는 새로운 생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