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5:11~31
5:1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5:12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그들에게 이르라 만일 어떤 사람의 아내가 실행하여 남편에게 범죄하여
5:13 타인과 정교를 하였으나 그 남편의 눈에 숨겨 드러나지 아니하였고 그 여자의 더러워진 일에 증인도 없고 그가 잡히지 아니하였어도
5:14 그 더러워짐을 인하여 남편이 의심이 생겨서 그 아내를 의심하든지 또는 아내가 더럽히지 아니하였어도 그 남편이 의심이 생겨서 그 아내를 의심하거든
5:15 그 아내를 데리고 제사장에게로 가서 그를 위하여 보리 가루 에바 십분지 일을 예물로 드리되 그것에 기름도 붓지 말고 유향도 두지 말라 이는 의심의 소제요 생각하게 하는 소제니 곧 죄악을 생각하게 하는 것이니라
5:16 제사장은 그 여인으로 가까이 오게 하여 여호와 앞에 세우고
5:17 토기에 거룩한 물을 담고 성막 바닥의 티끌을 취하여 물에 넣고
5:18 여인을 여호와 앞에 세우고 그 머리를 풀게 하고 생각하게 하는 소제물 곧 의심의 소제물을 그 두 손에 두고 제사장은 저주가 되게 할 쓴 물을 자기 손에 들고
5:19 여인에게 맹세시켜 그에게 이르기를 네가 네 남편을 두고 실행하여 사람과 동침하여 더럽힌 일이 없으면 저주가 되게 하는 이 쓴 물의 해독을 면하리라
5:20 그러나 네가 네 남편을 두고 실행하여 더럽혀서 네 남편 아닌 사람과 동침하였으면
5:21 (제사장이 그 여인으로 저주의 맹세를 하게 하고 그 여인에게 말할지니라) 여호와께서 네 넓적다리로 떨어지고 네 배로 부어서 너로 네 백성 중에 저줏거리, 맹셋거리가 되게 하실지라
5:22 이 저주가 되게 하는 이 물이 네 창자에 들어가서 네 배로 붓게 하고 네 넓적다리로 떨어지게 하리라 할 것이요 여인은 아멘 아멘 할지니라
5:23 제사장이 저주의 말을 두루마리에 써서 그 글자를 그 쓴 물에 빨아 넣고
5:24 여인으로 그 저주가 되게 하는 쓴 물을 마시게 할지니 그 저주가 되게 하는 물이 그의 속에 들어가서 쓰리라
5:25 제사장이 먼저 그 여인의 손에서 의심의 소제물을 취하여 그 소제물을 여호와 앞에 흔들고 가지고 단으로 가서
5:26 그 소제물 중에서 기념으로 한 움큼을 취하여 단 위에 소화하고 그 후에 여인에게 그 물을 마시울지라
5:27 그 물을 마시운 후에 만일 여인이 몸을 더럽혀서 그 남편에게 범죄하였으면 그 저주가 되게 하는 물이 그의 속에 들어가서 쓰게 되어 그 배가 부으며 그 넓적다리가 떨어지리니 그 여인이 그 백성 중에서 저줏거리가 될 것이니라
5:28 그러나 여인이 더럽힌 일이 없고 정결하면 해를 받지 않고 잉태 하리라
5:29 이는 의심의 법이니 아내가 그 남편을 두고 실행하여 더럽힌 때나
5:30 또는 그 남편이 의심이 생겨서 그 아내를 의심할 때에 그 여인을 여호와 앞에 두고 제사장이 이 법대로 행할 것이라
5:31 남편은 무죄할 것이요 여인은 죄가 있으면 당하리라
오늘 본문은 간음의 혐의를 받는 아내가 있고, 의심은 있지만 명확한 증거가 없을 때, 진위를 규명하려는 장치에 대한 것입니다. 남편은 「질투의 소제」라는 것을 드리는데 그것은 심판과 판결의 의미를 담습니다. 이 소제를 통해서 진실이 밝혀지면 죄 있는 자는 저주를 받고 무죄한 자는 명예를 회복합니다. 아쉽게도 민수기에 남성에 대한 항목이 없지만, 여성 간음에 관한 것은 사회적 발언권이 없는 여성을 변호하는 장치이기도 했습니다.
현대는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혼외 간통이 죄가 아닌 시대가 되었습니다. 성(性)은 사적 권리로 해석되고, 결혼과 가족의 공적 의미와 공동체적 책임은 약화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가정은 사적인 영역인 동시에 공공 질서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위이기도 합니다. 혼외 간통은 도덕적 일탈로만 보아서는 안되고, 법적으로 체결된 혼인 계약의 위반, 사회적 신뢰와 공동체 정의를 훼손하는 계약 불이행 행위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실관계를 판별하고, 책임을 묻는 절차는 공동체 질서 회복을 위한 당연한 조치였습니다. 질투의 소제는 질투심에 사로잡힌 남편의 분노를 해소하기 위한 제의가 아닙니다. 그런 상태에서 제사를 드릴 수 없습니다. 진실을 하나님 앞에 맡기고 문제의 해결과 관계의 회복을 요청하는 청원입니다. 시대와 성별, 종교의 유무를 불문하고 부부와 가정의 단위는 하나님이 정하신 것입니다. 그 안에서만 자유와 위로를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