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3:27-24:9
23:27 발락이 발람에게 또 이르되 오라 내가 너를 다른 곳으로 인도하리니 네가 거기서 나를 위하여 그들을 저주하기를 하나님이 혹시 기뻐하시리라 하고
23:28 발락이 발람을 인도하여 광야가 내려다 보이는 브올 산 꼭대기에 이르니
23:29 발람이 발락에게 이르되 나를 위하여 여기 일곱 제단을 쌓고 거기 수송아지 일곱 마리와 숫양 일곱 마리를 준비하소서
23:30 발락이 발람의 말대로 행하여 각 제단에 수송아지와 숫양을 드리니라
24:1 발람이 자기가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것을 여호와께서 선히 여기심을 보고 전과 같이 점술을 쓰지 아니하고 그의 낯을 광야로 향하여
24:2 눈을 들어 이스라엘이 그 지파대로 천막 친 것을 보는데 그 때에 하나님의 영이 그 위에 임하신지라
24:3 그가 예언을 전하여 말하되 브올의 아들 발람이 말하며 눈을 감았던 자가 말하며
24:4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자, 전능자의 환상을 보는 자, 엎드려서 눈을 뜬 자가 말하기를
24:5 야곱이여 네 장막들이, 이스라엘이여 네 거처들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고
24:6 그 벌어짐이 골짜기 같고 강 가의 동산 같으며 여호와께서 심으신 침향목들 같고 물가의 백향목들 같도다
24:7 그 물통에서는 물이 넘치겠고 그 씨는 많은 물 가에 있으리로다 그의 왕이 아각보다 높으니 그의 나라가 흥왕하리로다
24:8 하나님이 그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셨으니 그 힘이 들소와 같도다 그의 적국을 삼키고 그들의 뼈를 꺾으며 화살로 쏘아 꿰뚫으리로다
24:9 꿇어 앉고 누움이 수사자와 같고 암사자와도 같으니 일으킬 자 누구이랴 너를 축복하는 자마다 복을 받을 것이요 너를 저주하는 자마다 저주를 받을지로다
어제에 이어 여전이 발락은 발람이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하기를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또 다른 곳에서 이스라엘을 바라보며 혹시 이번에는 저주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습니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그 결과는 변하지 않습니다. 발람은 다시금 하나님의 영에 의해 이스라엘을 축복하기 시작합니다. 어제의 본문과 같이 하나님이 그 말씀하신 것을 이루시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오늘 본문에서 한 가지 더, 그 하나님이 말씀하신 오래 전 약속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기원, 선조 아브라함에게 하나님이 하셨던 약속, 너를 축복하는 자는 복을 받고,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는다는 약속입니다.
오늘 본문의 발람은 분명 이스라엘을 세 번이나 축복하였습니다. 그런 발람을 하나님께서는 분명 축복하셨습니다. 마치 눈을 감은 것과 같이 점술로 우상을 의지하며 예언하였던 발람은 그 눈을 뜨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자, 전능자의 환상을 보는 자가 되었습니다.
하나님이 선하게 여기신 것은 이스라엘을 축복하던 발람이 아닙니다. 발람에게 복이 되었던 이스라엘이며, 그 이스라엘과 맺으신 약속입니다
이대로 발람이 성경의 무대에서 퇴장하였다면, 우리는 발람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며 일생을 살아갔을 것이라 추측하며 그의 삶을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후의 사건들을 통해, 발람이 이스라엘을 저주하고, 그 저주의 대가로 자신 역시 저주받는 모습, 비참한 삶의 끝을 맞이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인과응보’의 모습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약속’에 의한 것입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구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구원은 우리의 어떠한 선한 행동, 그 행동에서부터 오는 보상이 아닙니다. 그 구원은 하나님의 약속에 의해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안심할 수 있습니다. 혹여나 발람과 같이 우리 역시 변하여 버리는 것은 아닐까 걱정될 수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이후 더욱 많은 약속들을 우리에게 주심으로, 우리를 반드시 구원으로 이끄시겠다는 그 의지를 보여주셨습니다. 우리는 그저 그 약속을 신뢰하며, 하나님의 그 의지를 느끼며 하루하루 감사함으로 살아가면 되는 것입니다.
https://youtu.be/cR6NZwPG2uQ?si=ZMDH_M6wU-Rp9iF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