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겔 20:10~26
20:10 그러므로 내가 그들로 애굽 땅에서 나와서 광야에 이르게 하고
20:11 사람이 준행하면 그로 인하여 삶을 얻을 내 율례를 주며 내 규례를 알게 하였고
20:12 또 나는 그들을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인줄 알게 하려하여 내가 내 안식일을 주어 그들과 나 사이에 표징을 삼았었노라
20:13 그러나 이스라엘 족속이 광야에서 내게 패역하여 사람이 준행하면 그로 인하여 삶을 얻을 나의 율례를 준행치 아니하며 나의 규례를 멸시하였고 나의 안식일을 크게 더럽혔으므로 내가 이르기를 내가 내 분노를 광야에서 그들의 위에 쏟아 멸하리라 하였으나
20:14 내가 내 이름을 위하여 달리 행하였었나니 내가 그들을 인도하여 내는 것을 목도한 열국 앞에서 내 이름을 더럽히지 아니하려 하였음이로라
20:15 또 내가 광야에서 그들에게 맹세하기를 내가 그들에게 허한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요 모든 땅 중의 아름다운 곳으로 그들을 인도하여 들이지 아니하리라 한 것은
20:16 그들이 마음으로 우상을 좇아 나의 규례를 업신여기며 나의 율례를 행치 아니하며 나의 안식일을 더럽혔음이니라
20:17 그러나 내가 그들을 아껴 보아 광야에서 멸하여 아주 없이 하지 아니하였었노라
20:18 내가 광야에서 그들의 자손에게 이르기를 너희 열조의 율례를 좇지 말며 그 규례를 지키지 말며 그 우상들로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20:19 나는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라 너희는 나의 율례를 좇으며 나의 규례를 지켜 행하고
20:20 또 나의 안식일을 거룩하게 할지어다 이것이 나와 너희 사이에 표징이 되어 너희로 내가 여호와 너희 하나님인줄 알게 하리라 하였었노라
20:21 그러나 그 자손이 내게 패역하여 사람이 준행하면 그로 인하여 삶을 얻을 나의 율례를 좇지 아니하며 나의 규례를 지켜 행하지 아니하였고 나의 안식일을 더럽혔는지라 이에 내가 이르기를 내가 광야에서 내 분을 그들의 위에 쏟으며 내 노를 그들에게 이루리라 하였으나
20:22 내가 내 이름을 위하여 내 손을 금하고 달리 행하였었나니 내가 그들을 인도하여 내는 것을 목도한 열국 앞에서 내 이름을 더럽히지 아니하려 하였음이로다
20:23 또 내가 광야에서 그들에게 맹세하기를 내가 그들을 이방인 중에 흩으며 열방 중에 헤치리라 하였었나니
20:24 이는 그들이 나의 규례를 행치 아니하며 나의 율례를 멸시하며 내 안식일을 더럽히고 눈으로 그 열조의 우상들을 사모함이며
20:25 또 내가 그들에게 선치 못한 율례와 능히 살게 하지 못할 규례를 주었고
20:26 그들이 장자를 다 화제로 드리는 그 예물로 내가 그들을 더럽혔음은 그들로 멸망케 하여 나를 여호와인 줄 알게하려 하였음이니라
이 본문에서 읽어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들은 불순종하였으나 나는 순종하여 망하지 않아야 한다는 교훈적 메시지로 충분한 것일까? 본문은 그들의 불순종을 책망하는 것이 아니고, 이스라엘의 역사, 아니 인간의 본성 속에서 반복되는 불순종과 배반의 구조를 고발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들은 광야에서도 불순종하고 반역했다. 구원의 도상에서조차 불순종을 멈추지 않은 것이다.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끊임없이 하나님을 배신했다. 우리가 그것을 읽는 이유는 수천년 전에 살았던 사람들을 행실을 비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하나님과 인간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순종해야 한다는 자책이나 권면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순종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근본적으로 자각해야 한다. 이스라엘의 불순종은 한 시대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존재 전체가 안고 있는 죄의 속성의 문제이다. 바울이 로마서에서 고백한 것처럼, 선을 행하고자 하는 의지는 있으나, 실제로는 불순종으로 기울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인간이다.
우리가 믿는 것은 이스라엘의 역사가 아니고, 율법도 아니다. 우리가 믿는 것은 오직 복음이다. 유대교의 아류가 아니라 복음의 렌즈로 구약을 읽어야 함이 마땅하다. 그러므로 복음의 사람이 추구하는 순종이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순종은 스스로의 결심이나 의지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순종에 연합되는 삶 속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스겔 20장은 인간의 무능과 불순종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을 말한다. 하나님이 자신의 이름과 언약을 위하여 이스라엘을 끝내 버리지 않으셨듯이, 그 일관된 구속을 위해서 그리스도 안에서 새 길을 여신 것이다. 순종은 나의 성취가 아니라, 구속의 은혜에 헌신함으로서 살아내는 삶이다. 신앙은 다른 어떤 것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분명한 고백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