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9:1~13
9:1 내가 그리스도 안에서 참말을 하고 거짓말을 아니하노라 나에게 큰 근심이 있는 것과 마음에 그치지 않는 고통이 있는 것을 내 양심이 성령 안에서 나와 더불어 증거하노니
9:2 내 형제 곧 골육의 친척을 위하여 내 자신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질지라도 원하는 바로라
9:3 저희는 이스라엘 사람이라 저희에게는 양자 됨과 영광과 언약들과 율법을 세우신 것과 예배와 약속들이 있고
9:4 조상들도 저희 것이요 육신으로 하면 그리스도가 저희에게서 나셨으니 저는 만물 위에 계셔 세세에 찬양을 받으실 하나님이시니라 아멘
9:5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이 폐하여진 것 같지 않도다 이스라엘에게서 난 그들이 다 이스라엘이 아니요
9:6 또한 아브라함의 씨가 다 그 자녀가 아니라 오직 이삭으로부터 난 자라야 네 씨라 불리리라 하셨으니
9:7 곧 육신의 자녀가 하나님의 자녀가 아니요 오직 약속의 자녀가 씨로 여기심을 받느니라
9:8 약속의 말씀은 이것이라 명년 이 때에 내가 이르리니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하셨느니라
9:9 그뿐 아니라 리브가가 우리 조상 이삭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잉태하였는데
9:10 그 자식들이 아직 나지도 아니하고 무슨 선이나 악을 행하지 아니한 때에 택하심을 따라 되는 하나님의 뜻이 행위로 말미암지 않고 오직 부르시는 이로 말미암아 서게 하려 하사
9:11 리브가에게 이르시되 큰 자가 어린 자를 섬기리라 하셨나니
9:12 기록된바 내가 야곱은 사랑하고 에서는 미워하였다 하심과 같으니라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를 받았으나 그 특권에도 불구하고 복음을 거부했다. 그들은 선민이라고 믿었기에 더욱 예수 그리스도를 거부했다. 그래서 바울은 자기 민족 이스라엘에 대해서 슬퍼했지만, 그것에 주저앉아 있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복음으로 무장한 바울에게는 이미 국적과 민족은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울이 전한 복음은 인류 보편적인 것이다. 바울은 말했다. “이스라엘에서 태어났다고 해서 다 이스라엘이 아니다.” 혈통이 곧 약속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하나님의 부르심은 혈통 즉 민족이나 종교의 소속에 따르지 않고, 개인적 부르심에 응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말한 혈통은 유대인을 말하는 것이었지만, 나는 이 시대의 기독교라는 종교적 소속이라고 읽었다.
아브라함에게서 났지만 이스마엘이 아니라 이삭이었고, 이삭에게서 났지만 에서가 아니라 야곱이었다. 그들이 선이나 악을 행했기 때문이 아니다. 이미 그 이전에 하나님의 뜻은 정해져 있었다. 그것에 대하여 불공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들은 먼저 자신은 왜 여기 존재하는가를 먼저 물어야 한다. 자기 존재의 이유조차 모르면서 창조주의 선택과 부르심을 비난하는 것은 우스꽝스러운 일이다. 믿지 않겠다는 불신앙은 가능하지만, 누구를 무슨 이유로 선택했고, 왜 그들을 구원하는가라는 항의는 무의미하다. 유일하게 관심을 가질 수 있고 관심을 가져야 하는 영역은 자신의 구원, 오직 그것뿐이다.
누구도 구원받을 자격이 없었고, 어느 누구도 소속이나 자기 노력으로 하나님을 얻을 수는 없었다. 구원은 순전한 은혜 말고 다른 불순물이 섞일 수 없는 순물질같은 것이다. 믿었다 하더라도 인간에게 공로는 없다. 자신의 구원자, 은혜의 하나님을 자랑할 수는 있지만, 자기공로를 자랑할 수는 없다. 겸손은 매너가 아니라 은혜의 크기를 아는 데서 오는 자기인식이다. 은혜를 아는 자만이 겸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믿음을 계급이나 훈장처럼 여기는 시대에 겸손한 몸짓은 교활한 처세가 되었다. 그런 자기에게 제일 먼저 속는 것은 자기자신일 것이다. 위대한 신앙은 가능할까? 혹시 가능하다면 그것은 용서받은 죄인이라는 은혜의식과 갚아야 한다는 채무의식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자랑할 것 없던 바울이 모든 것을 걸고 선교한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