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14:1–12
14:1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심하는 바를 비판하지 말라
14:2 어떤 사람은 모든 것을 먹을만한 믿음이 있고 연약한 자는 채소를 먹느니라
14:3 먹는 자는 먹지 않는 자를 업신여기지 말고 먹지 못하는 자는 먹는 자를 판단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이 저를 받으셨음이니라
14:4 남의 하인을 판단하는 너는 누구뇨 그 섰는 것이나 넘어지는 것이 제 주인에게 있으매 저가 세움을 받으리니 이는 저를 세우시는 권능이 주께 있음이니라
14:5 혹은 이날을 저 날보다 낫게 여기고 혹은 모든 날을 같게 여기나니 각각 자기 마음에 확정할찌니라
14:6 날을 중히 여기는 자도 주를 위하여 중히 여기고 먹는 자도 주를 위하여 먹으니 이는 하나님께 감사함이요 먹지 않는 자도 주를 위하여 먹지 아니 하며 하나님께 감사하느니라
14:7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14:8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라
14:9 이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죽었다가 다시 살으셨으니 곧 죽은 자와 산 자의 주가 되려 하심이니라
14:10 네가 어찌하여 네 형제를 판단하느뇨 어찌하여 네 형제를 업신여기느뇨 우리가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리라
14:11 기록되었으되 주께서 가라사대 내가 살았노니 모든 무릎이 내게 꿇을 것이요 모든 혀가 하나님께 자백하리라 하였느니라
14:12 이러므로 우리 각인이 자기 일을 하나님께 직고하리라
바울은 로마 교회 안의 갈등에 대해서 말한다. 어떤 사람은 고기를 먹고, 어떤 사람은 채소만 먹었다. 종교적인 이유다. 어떤 사람은 특별한 날을 구별했고, 어떤 사람은 그것에 얽매이지 않았다. 바울은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심하는 바를 비판하지 말라”는 말로 이 논쟁을 가로지른다. 그러한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다.
바울이 말하는 믿음이 강한 자란, 복음 안에서 자유를 누리는 사람이다. 규칙이나 형식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그보다 더 큰 삶의 방향이라는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라.”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 존재 전체가 주께 속했다는 고백이다. 그것이 ‘강한 믿음’이다.
믿음이 약한 자는 본질에 다가가지 못하고 종교적 관습과 전통의 경계선 안에서 신앙을 지키려 한다. 그들은 테두리를 벗어날까 두려워한다. 그러나 바울은 그들의 동기도 불순하지는 않다고 말한다. 그들의 조심 속에도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진심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복음의 완전한 자유를 체험하지 못했을 뿐이다. 하나님은 그 마음도 귀히 받으신다고 했다.
“누가 옳은가”가 아니라 “누가 주의 것인가”이다. 서로 옳다고 싸우고 있는 싸움판에 주께 속한 사람은 없다. 서로를 존중해야 하는 것은 인격적 의미에서의 예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에 대해서 순종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받으신 것에 대해서 네가 왜 비판하느냐. 대립이라는 것이 본래 옳고 그름을 분별하지 못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공동체는 다른 사람을 품는 공간 안에서 세워진다.
오늘 아침에 강대경 전도사의 고별식이 있다. 데려가시던 날, “너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고 하시더니 보내야 하는 날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주의 것이라”고 하신다.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라” 14:7, 8 주께 속한 믿음은 삶과 죽음 사이에 선을 긋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