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14:13–23
14:13 그런즉 우리가 다시는 서로 판단하지 말고 도리어 부딪힐 것이나 거칠 것으로 형제 앞에 두지 아니할 것을 주의하라
14:14 내가 주 예수 안에서 알고 확신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스스로 속된 것이 없으되 다만 속되게 여기는 그 사람에게는 속되니라
14:15 만일 식물을 인하여 네 형제가 근심하게 되면 이는 네가 사랑으로 행치 아니함이라 그리스도께서 대신하여 죽으신 형제를 네 식물로 망케 하지 말라
14:16 그러므로 너희의 선한 것이 비방을 받지 않게 하라
14:17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
14:18 이로써 그리스도를 섬기는 자는 하나님께 기뻐하심을 받으며 사람에게도 칭찬을 받느니라
14:19 이러므로 우리가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
14:20 식물을 인하여 하나님의 사업을 무너지게 말라 만물이 다 정하되 거리낌으로 먹는 사람에게는 악하니라
14:21 고기도 먹지 아니하고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고 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
14:22 네게 있는 믿음을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가지고 있으라 자기의 옳다 하는 바로 자기를 책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14:23 의심하고 먹는 자는 정죄되었나니 이는 믿음으로 좇아 하지 아니한 연고라 믿음으로 좇아 하지 아니하는 모든 것이 죄니라
복음은 개인적인 것으로 시작하지만, 결코 개인의 내면에 머무는 사적 신념이 아니고, 하나님과 화해한 인간이 다시 타자와 화해하며 살아가는 공동체적 사건이다. 로마서의 시작은 죄와 의, 율법과 은혜를 다루었고 그 결론은 ‘함께 사는 삶’으로 귀결되고 다른 모든 서신서도 어김없이 동일하다.
로마서 14장은 그 절정이다. 믿음이 강한 자와 약한 자의 갈등, 신앙의 자유와 양심의 문제는 결국 공동체라는 기준 안에서 재편된다. 복음은 옳고 그름을 나누는 칼이 아니라, 사랑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그릇이다. 자유는 자기 의를 주장하는 권리가 아니라, 이웃을 세우기 위해 스스로를 절제할 수 있는 용기라고 해야 한다.
그러므로 복음을 가진 신앙은 함께 부대끼며 살아내는 삶의 과정에서만 증명된다. 신앙은 자기 확신의 완벽함보다 타인을 존중하는 자세 속에서 드러난다. 본회퍼는 “그리스도인은 홀로 있을 수 없으며, 홀로 있는 자는 그리스도인일 수 없다”고 했다. 공동체가 없이 복음을 증명하는 삶을 살 수는 없다는 것이다. 혼자의 세계로 파고들어가는 시대이지만, 복음이 가진 공동체성까지 상대화할 수는 없다.
신앙은 개인의 도피에서 그치지 않고, 타자의 고통을 함께 짊어지는 책임적 실존으로 살아간다. 복음은 ‘나의 믿음’으로 시작하지만, ‘우리의 사랑’으로 증명된다. 한스 큉은 “교회는 복음을 담은 항아리가 아니라, 복음이 스스로 흘러나오는 샘이다.”고 정의했다. 교회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이 실재로 살아 있는 공간으로 존재해야 한다. 함께 살아내는 것, 그것이 로마서의 결론이며, 교회의 존재이유이며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