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15:1~13
15:1 우리 강한 자가 마땅히 연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찌니라
15:3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기록된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15:4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안위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15:5 이제 인내와 안위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15:6 한 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15:7 이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15:8 내가 말하노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수종자가 되셨으니 이는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케 하시고
15:9 이방인으로 그 긍휼하심을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이라 기록된바 이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15:10 또 가로되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하였으며
15:11 또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저를 찬송하라 하였으며
15:12 또 이사야가 가로되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 하였느니라
15:13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케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로마서를 흔히 “복음의 정수”라 부르고, 기독교 신학의 완성된 신학 논문이라고 말한다. 복음 이해를 위한 논리가 탁월하다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현대 학문 체계에서 논문이란, 사실이나 해석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근거를 통해 정당화하는 글쓰기 형식이다. 따라서 이 글쓰기 장르의 본질은 객관적 서술이며, 필연적으로 저자의 감정과 직관은 배제되어야 한다.
로마서가 복음을 증거하는 과정에서 논리성을 가질 수는 있으나, 그것은 과학적 논증이 아니라 바울의 감정적 호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학문적‧언어적 체계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것을 말하고 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로마서는 편지다. 바울은 논문을 쓴 것이 아니라, 편지를 보냈을 뿐이다. 복음을 집대성하려 한 것이 아니라, 복음에 사로잡힌 채 그것을 로마 교회에게 전하려 했던 것뿐이다.
로마서는 11장까지 복음을 정의하고, 12장부터 마지막까지는 복음을 살아내야 하는 것에 대해 말한다. 전반부의 논리적 분위기 때문에 로마서를 신학적 논문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사실 후반부가 더 중요하다. 편지의 이야기 안에서 정의(定義)한 것, 교리로 정리한 것은 반드시 삶의 이야기로 풀어내야만 한다. 로마서 후반부에서 복음은 학문적 명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를 화해시키는 이야기였다. 논문에는 그런 것을 쓰지 않는다.
바울은 논리적으로 이해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그 진리에 순종하도록 초대한다. 복음은 머리로 정리되는 개념이 아니라, 삶으로 깨닫고 반응하게 하는 힘이다. 나의 복음이 어떤 것인지 언어로 정리가 되지 않는다면, 누군가에게 전해보면 알 수 있다. 나의 복음이 무엇인지를 증명해 보고 싶다면, 공동체 안에서 사람들과 얽혀 살아보면 알 수 있다. 로마서를 읽는 올바른 자세는 이해가 아니라 순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