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9:1-12
9:1 예수께서 길을 가실 때에 날 때부터 맹인 된 사람을 보신지라
9:2 제자들이 물어 이르되 랍비여 이 사람이 맹인으로 난 것이 누구의 죄로 인함이니이까 자기니이까 그의 부모니이까
9:3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이 사람이나 그 부모의 죄로 인한 것이 아니라 그에게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9:4 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 밤이 오리니 그 때는 아무도 일할 수 없느니라
9:5 내가 세상에 있는 동안에는 세상의 빛이로라
9:6 이 말씀을 하시고 땅에 침을 뱉어 진흙을 이겨 그의 눈에 바르시고
9:7 이르시되 실로암 못에 가서 씻으라 하시니 (실로암은 번역하면 보냄을 받았다는 뜻이라) 이에 가서 씻고 밝은 눈으로 왔더라
9:8 이웃 사람들과 전에 그가 걸인인 것을 보았던 사람들이 이르되 이는 앉아서 구걸하던 자가 아니냐
9:9 어떤 사람은 그 사람이라 하며 어떤 사람은 아니라 그와 비슷하다 하거늘 자기 말은 내가 그라 하니
9:10 그들이 묻되 그러면 네 눈이 어떻게 떠졌느냐
9:11 대답하되 예수라 하는 그 사람이 진흙을 이겨 내 눈에 바르고 나더러 실로암에 가서 씻으라 하기에 가서 씻었더니 보게 되었노라
9:12 그들이 이르되 그가 어디 있느냐 이르되 알지 못하노라 하니라
사람은 눈에 보이는 것에 쉽게 의지합니다. 그만큼 우리가 무언가를 인식하기 위해, 그 대상을 본다 라는 행위는 아주 중요하고,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히브리서 기자는 믿음을 통해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 그리고 그 약속을 신뢰하고, 실제 눈 앞에 있는 것을 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게 된다고 말하며, 믿음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우리의 눈에 보인다 할 지라도,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에 의지한 나머지, 눈에 보이지 않는 본질적인 것들을 놓쳐버릴 때가 있습니다. 오늘 본문의 제자들이나, 지금까지 등장하였던 유대인 율법학자들이 그 예입니다.
그들은 눈에 보이는 ‘율법’을 인식하고, 따르고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오늘 제자들은 날 때부터 맹인 된 사람을 보며, 그 원인이 그 사람의 죄, 혹은 그의 부모의 죄에 있을 것이라 추측하였습니다. 그것이 그들이 인식하고 있던 율법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눈에 보이는 율법을 넘어, 더 근본적인 곳에 초점을 두셨습니다. 바로 하나님의 뜻이었습니다.
날 때부터 눈이 보이지 않던 맹인은, 이 날을 통하여 지금까지 예수님을 눈으로 보아왔던 자들보다 더욱 정확하게, 확실하게 예수님에 대해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보지 못하였던 예수님의 본질을, 눈에 보이는 것에 의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정확히 알 수 있었을 것입니다.
오늘 본문의 마지막 절에서는 사람들이 그 예수님이 어디에 있는지 맹인이었던 자에게 묻고 있습니다. 여전히 그들은 예수님을 눈으로 보기를 원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맹인이었던 자는 예수님이 어디에 가셨는지는 알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추측해 볼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은 예수님이 어디에 계신지 계속하여 찾았을지라도, 맹인은 더 이상 예수님을 찾지 않아도 되었을 거라는 것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아도 예수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