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80:1~19
80:1 요셉을 양떼같이 인도하시는 이스라엘의 목자여 귀를 기울이소서 그룹 사이에 좌정하신 자여 빛을 비취소서
80:2 에브라임과 베냐민과 므낫세 앞에서 주의 용력을 내사 우리를 구원하러 오소서
80:3 하나님이여 우리를 돌이키시고 주의 얼굴 빛을 비취사 우리로 구원을 얻게 하소서
80:4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의 백성의 기도에 대하여 어느 때까지 노하시리이까
80:5 주께서 저희를 눈물 양식으로 먹이시며 다량의 눈물을 마시게 하셨나이다
80:6 우리로 우리 이웃에게 다툼거리가 되게 하시니 우리 원수들이 서로 웃나이다
80:7 만군의 하나님이여 우리를 돌이키시고 주의 얼굴 빛을 비취사 우리로 구원을 얻게 하소서
80:8 주께서 한 포도나무를 애굽에서 가져다가 열방을 쫓아내시고 이를 심으셨나이다
80:9 주께서 그 앞서 준비하셨으므로 그 뿌리가 깊이 땅에 편만하며
80:10 그 그늘이 산들을 가리우고 그 가지는 하나님의 백향목 같으며
80:11 그 가지가 바다까지 뻗고 넝쿨이 강까지 미쳤거늘
80:12 주께서 어찌하여 그 담을 헐으사 길에 지나는 모든 자로 따게 하셨나이까
80:13 수풀의 돼지가 상해하며 들짐승들이 먹나이다
80:14 만군의 하나님이여 구하옵나니 돌이키사 하늘에서 굽어보시고 이 포도나무를 권고하소서
80:15 주의 오른손으로 심으신 줄기요 주를 위하여 힘있게 하신 가지니이다
80:16 그것이 소화되고 작벌을 당하며 주의 면책을 인하여 망하오니
80:17 주의 우편에 있는 자 곧 주를 위하여 힘있게 하신 인자의 위에 주의 손을 얹으소서
80:18 그러하면 우리가 주에게서 물러가지 아니하오리니 우리를 소생케 하소서 우리가 주의 이름을 부르리이다
80:19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여 우리를 돌이키시고 주의 얼굴 빛을 비취소서 우리가 구원을 얻으리이다
에브라임, 므낫세, 베냐민이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북이스라엘이 앗수르에게 고통받는 때의 기도인 것 같다. 짓밟힌 포도나무, 허물어진 울타리, 눈물로 만든 양식과 이웃의 조롱이라는 수사로 고통의 참상을 말하지만, 「시인은 주의 얼굴 빛을 비취소서 우리가 구원을 얻으리이다」는 요청으로 하나님의 자비를 구한다.
상황을 바꿀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얼굴이 향하시는 각도이다. 하나님이 얼굴을 돌려 은혜를 베푸시면 상황은 바뀔 것이 분명하다. 시인은 민수기 제사장적 축복의 언어를 가지고 온 것이다. 「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그런데 민수기의 문맥에서 말씀하는 「얼굴을 비추신다」는 은혜는 공동체의 예배 속의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선언이었다.
그러고 보면 시편 80편에는 예배에 대한 언급이 없다. 망해가는 때에 처절한 구원의 소원에도 예배에 대한 회복이 나오지 않는다는 말이다. 하나님 앞에 나갈 형식도 내용도 없는데 하나님의 도움만을 구하는 기도만 남은 것이 아닐까. 인용한 하나님의 얼굴빛의 의미가 무엇이지 모르면서 그것을 비춰 달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무너진 공동체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먼저 예배가 회복되어야 하고 예배를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회복되어야만 한다. 그때 하나님은 그 예배를 통해서 얼굴을 드시고 백성을 향해 축복하실 것이다. 예배는 형태와 형식을 가지지만, 그 그릇 안에 사랑과 신뢰가 담기지 않으면 예배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고통 속에 부르짖는 날, 하나님께 도움을 말할 때 가장 먼저 예배의 회복을 먼저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