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겔 23:22~35
23:22 그러므로 오홀리바야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너의 연애하다가 싫어하던 자들을 격동시켜서 그들로 사방에서 와서 너를 치게 하리니
23:23 그들은 바벨론 사람과 갈대아 모든 무리 브곳과 소아와 고아 사람과 또 그와 함께 한 모든 앗수르 사람 곧 준수한 소년이며 다 방백과 감독이며 귀인과 유명한 자, 다 말 타는 자들이라
23:24 그들이 병기와 병거와 수레와 크고 작은 방패를 이끌고 투구 쓴 군대를 거느리고 치러 와서 너를 에워쌀지라 내가 심문권을 그들에게 맡긴즉 그들이 그 심문권대로 너를 심문하리라
23:25 내가 너를 향하여 투기를 발하리니 그들이 분노로 네게 행하여 네 코와 귀를 깎아버리고 남은 자를 칼로 엎드러뜨리며 네 자녀를 빼앗고 그 남은 자를 불에 사르며
23:26 또 네 옷을 벗기며 네 장식품을 빼앗을지라
23:27 이와 같이 내가 네 음란과 애굽 땅에서부터 음행하던 것을 그치게 하여 너로 그들을 향하여 눈을 들지도 못하게 하며 다시는 애굽을 기억하지도 못하게 하리라
23:28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너의 미워하는 자와 네 마음에 싫어하는 자의 손에 너를 붙이리니
23:29 그들이 미워하는 마음으로 네게 행하여 네 모든 수고한 것을 빼앗고 너를 벌거벗겨 적신으로 두어서 네 음행의 벗은 몸 곧 네 음란하며 음행하던 것을 드러낼 것이라
23:30 네가 이같이 당할 것은 네가 음란히 이방을 좇고 그 우상들로 더럽혔음이로다
23:31 네가 네 형의 길로 행하였은즉 내가 그의 잔을 네 손에 주리라
23:32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깊고 크고 가득히 담긴 네 형의 잔을 네가 마시고 비소와 조롱을 당하리라
23:33 네가 네 형 사마리아의 잔 곧 놀람과 패망의 잔에 넘치게 취하고 근심할지라
23:34 네가 그 잔을 다 기울여 마시고 그 깨어진 조각을 씹으며 네 유방을 꼬집을 것은 내가 이렇게 말하였음이니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23:35 그러므로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네가 나를 잊었고 또 나를 네 등 뒤에 버렸은즉 너는 네 음란과 네 음행의 죄를 담당할지니라 하시니라
오홀리바로 비유된 남유다의 배신과 심판이다. 하나님은 예루살렘이 바벨론과 불의한 동맹을 맺고 예루살렘이 그들의 힘과 문화를 사모하며, 마치 음란한 여인처럼 그들과 관계를 맺었다고 말씀하신다. 그들이 사모하고 의지했던 그 바벨론은 결국 하나님의 도구가 되어 예루살렘을 망하게 할 것이다. 믿어야 하는 대상을 배신한 예루살렘은 믿던 것에게 배신당하고 망하게 될 것이다. 언니 사마리아 즉 북이스라엘이 이미 마셨던 그 심판의 잔을, 동생 예루살렘도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그 심판이란 불가역적 종결을 말하는 것일까? 칼 바르트는 하나님의 심판이 파괴적 행위가 아니라 인간의 자기모순이 드러나는 자리라고 했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떤 방식이든지 망한다는 것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망한다’는 경험은 절망으로 보이지만, 하나님의 관점에서는 회복을 위한 사랑의 방식이다. 죽으면 끝이라는 유물론이나 실존적 허무주의로는 망함의 신학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심판은 종료가 아니라 백성됨을 회복시키기 위한 하나님의 개입이기 때문이다. 성경은 죽는 자도 주 안에서 죽는 자는 복되다고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비극의 역할을 카타르시스로 설명하고, 파멸의 정점이 감정의 정화와 성숙을 낳는다고 본 것처럼, 예루살렘의 몰락 또한 정화와 새 창조를 위한 것이다. 인간의 불의가 드러나야만 하나님의 의로움이 타나날 것이고, 심판은 모든 것의 종료가 아니라 언약 회복의 전환점이 된다. 인간은 마침표로 오해하지만 하나님 안에서는 쉼표일 뿐이다. 하나님의 시간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인간은 그것을 인정하고 믿어야 한다. 제한된 시간만을 믿고 살지만 그것만큼 믿음직하지 않은 것은 없기 때문이다. 흥망성쇠에 집착하지 말고 하나님과의 관계에 집중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