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4:1~8
4:1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된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4: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얻었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4:3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뇨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이것이 저에게 의로 여기신바 되었느니라
4:4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을 은혜로 여기지 아니하고 빚으로 여기거니와
4:5 일을 아니할지라도 경건치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에게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시나니
4:6 일한 것이 없이 하나님께 의로 여기심을 받는 사람의 행복에 대하여 다윗의 말한바
4:7 그 불법을 사하심을 받고 그 죄를 가리우심을 받는 자는 복이 있고
4:8 주께서 그 죄를 인정치 아니하실 사람은 복이 있도다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 3장에서 바울은 모든 사람이 죄 아래 있음을 밝혔고, 율법의 행위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은 당시 유대인에게 낯설게 들릴 수 있었을 것이고, 바울이 율법을 부정하거나 새로운 사상을 주장하는 것처럼 오해될 수도 있었다. 그래서 바울은 유대인 최고의 신뢰 아이콘인 아브라함을 소환했다. 유대인들이 조상으로 삼고 자랑하는 아브라함도 사실 어떤 행위가 아니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려는 것이다. 바울은 어떤 경우에도 하나님의 은혜와 그것을 믿는 믿음에 기초한 칭의만이 하나님의 방식임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아브라함과 다윗을 불러들여서 믿음으로 얻는 의와 죄 사함의 복이라는,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된 은혜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브라함이 아브라함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실력이나 노력 때문이 아니었다. 이른바 믿음이 좋아서도 아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믿음이 좋다”라는 그 믿음이 아니었다. 아브라함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님의 부르심에 이끌려 살았다. 이를 악물고 헌신한 것이 아니고, 믿음이 좋아서 순종한 것도 아니었다. 오직 그것밖에는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은혜라는 것이다. 사람들 보기에는 어려워 보이고 대단해 보였을지 모르지만, 아브라함 자신은 힘들지 않았을 것이다. 다른 것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울은 율법이 아니고 믿음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 믿음조차도 아브라함이 쥐어 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모든 것이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부르시고 붙드신 은혜로 가능했던 것이었다.
아브라함의 생애는 부분적인 성취로 끝났다. 하늘의 별과 같은 후손 대신 이삭 하나를 얻었고, 가나안 땅의 기업 대신 무덤 하나를 소유했을 뿐이었다. 그 미완성 속에서도 아브라함은 여전히 그 길을 걸었다. 의심하지 않는 것이 믿음이 아니고, 그 길을 끝까지 걸어가는 것이 믿음이다. 나의 공간과 나의 시간까지도 초월해서 하나님이 이루실 약속에 붙들려 살아가는 것이다. 아브라함이 두려움 속에서 흔들리고 기다림 속에서 실수했을 때에도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으셨다. 믿음은 완벽한 사람의 능력이 아니라, 연약한 자를 붙드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사건이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말해야 할까. 아브라함과 다윗은 누구보다 치열한 믿음과 순종의 삶을 살았던 사람이지만, 그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간증으로 끝난다. 그와 반대로 자기가 믿음이 좋아서 그 믿음으로 무엇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브라함의 인생, 다윗의 간증, 바울의 호소가 무슨 말인지 모를 것이다. 바울은 율법이 아닌 은혜, 행위가 아닌 믿음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곧 내가 아닌 하나님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상 문제를 일으킨 것은 믿음 없는 사람들이 아니라, 믿음이 좋다고 우기는 사람들이었다. 어깨와 목에 들어간 힘을 빼고 위치와 관계를 고백해야 한다. 하나님의 부르심과 이끄심은 언제나 나의 믿음과 순종보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