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9:25–33
9:25 호세아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하지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
9:26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그들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9:27 또 이사야가 이스라엘에 관하여 외치되 이스라엘 자손의 수가 비록 바다의 모래 같을지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얻으리니
9:28 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고 속히 시행하시리라 하셨느니라
9:29 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9:30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 의를 좇지 아니한 이방인이 의를 얻었으니 곧 믿음에서 난 의요
9:31 의의 법을 따라간 이스라엘은 율법에 이르지 못하였으니
9:32 어찌 그러하냐 이는 저희가 믿음을 의지하지 않고 행위를 의지함이라 부딪힐 돌에 부딪혔느니라
9:33 기록된 바 보라 내가 걸려 넘어지게 하는 돌과 거치는 반석을 시온에 두노니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치 아니하리라 함과 같으니라
바울은 구원이 민족적 특권이나 혈통이 아니라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 긍휼과 주권에 달려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것은 유대인 박탈의 논리가 아니라 비유대인 포용의 논리였다. 구원은 이스라엘이라는 경계 안에 갇혀있지 않다. 호세아와 이사야를 통해 하나님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부르시며, “사랑하지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셨다. 이는 이방인에게로 열린 보편적 복음의 지평을 드러낸다. 바울의 일관된 주제와 핵심은 하나님의 구원은 유대에 머물지 않는다는 선교의 확장이다. 기독교적 규범 안에 구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율법주의가 반복했던 시행착오이다. 하나님의 구원을 막을 수 있는 바르케이트는 없다.
구원의 조건은 소속이나 행위가 아니다. 오직 믿음이다. ‘오직’이라는 말은 행위나 율법이 배제된다는 뜻인 동시에, 다른 어떤 것과도 섞이지 않은 순수한 상태를 의미한다. ‘오직 믿음’의 상태를 가진 적이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즉 말씀에 지배받지 않은 사람은 오직 믿음(Sola Fide)을 경험한 적이 없는 사람이다. 이사야는 이스라엘의 수가 바다의 모래 같아도 남은 자만이 구원을 얻는다고 경고했다. 구원에 있어서 다수라는 것은 보장이 되지 않는다. 다수는 오히려 맹목적 군중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 구원은 혈통적 이스라엘, 즉 종교적인 소속이 아니라, 믿음으로 남은 자에게만 주어진다. 그러므로 믿음이라는 것은 집단적이지 않다. 주체는 개인이지 집단이 아니다. 성도는 자신의 믿음에 대해 인격적 책임을 져야 하며, 집단적 언어 속에 숨어 추상적 신앙을 고백하고 있지 않은지 성찰해야 한다.
바울은 율법학자답게 구약을 망라하여 복음을 드러내고 있다. 복음 안에서 말씀이 선명해진 것, 그것이 바울의 열정이다. 바울은 이어 이방인과 이스라엘을 대조했다. 의를 좇지 않았던 이방인은 믿음으로 의를 얻었고, 율법에 몰두했던 이스라엘은 오하려 율법에 이르지 못했다. 구원은 노력의 결과가 아니라, 오직 믿음을 통한 은혜의 선물이다. 믿음을 재정의하고 갱신하지 않는 사람의 끝은 어김없이 형식주의, 율법주의가 될 것이다. 스스로 살고자 하는 자는 살지 못할 것이며, 율법을 지키려는 자는 지켜내지 못할 것이다. 인간을 이해하지 못하면 구원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자신의 망가짐을 인정하며 믿음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사람은, 결국 구원에 이르게 하는 믿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