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15:22-33
15:22 그러므로 또한 내가 너희에게 가려 하던 것이 여러 번 막혔더니
15:23 이제는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고 또 여러 해 전부터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너희에게 가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15:24 이는 지나가는 길에 너희를 보고 먼저 너희와 사귐으로 얼마간 기쁨을 가진 후에 너희가 그리고 보내주기를 바람이라
15:25 그러나 이제는 내가 성도를 섬기는 일로 예루살렘에 가노니
15:26 이는 마게도냐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 성도 중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기쁘게 얼마를 연보하였음이라
15: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또한 저희는 그들에게 빚진 자니 만일 이방인들이 그들의 영적인 것을 나눠 가졌으면 육적인 것으로 그들을 섬기는 것이 마땅하니라
15:28 그러므로 내가 이 일을 마치고 이 열매를 그들에게 확증한 후에 너희에게 들렀다가 서바나로 가리라
15:29 내가 너희에게 나아갈 때에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
15:30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랑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어
15:31 나로 유대에서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로부터 건짐을 받게 하고 또 예루살렘에 대하여 내가 섬기는 일을 성도들이 받을 만하게 하고
15:32 나로 하나님의 뜻을 따라 기쁨으로 너희에게 나아가 너희와 함께 편히 쉬게 하라
15:33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계실지어다 아멘
복음을 전하기 위한 사역에 있어, 교회와 선교사의 협력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를 넘어, 각자의 일을 하는 것이 아닌, 선교라는 하나의 역할과 의무를 가졌다는 의미로 교회를 보내는 선교사, 선교 현장에서 직접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들을 나가는 선교사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 곳에서 복음을 전파하며,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세우고, 양육하는 것,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들을 찾고, 실천하는 것 등, 나가는 선교사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합니다. 하지만 보내는 선교사인 교회는, 그 역할을 애매모호하게 느낄 때가 너무나도 많습니다.
선교사에 대해, 그 사역에 대해 알지 못하고, 그 대상에 대해 알지 못하며, 그 곳의 필요에 대해 알지 못하는 등,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이 현 시대 많은 교회들이 겪는 문제의 원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본문 사도 바울의 편지의 내용은 나가는 선교사에게도, 보내는 선교사에게도 중요한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사도 바울과 로마 교회는 친밀한 관계 속에 있었습니다. 그 친밀함은 서로 함께 있는 것으로 ‘기쁨’이 될 정도였습니다. 그러한 관계는 어떻게 지속되어 온 것일까요. 첫 번째로는 나가는 선교사였던 사도 바울의 노력이 있었을 것입니다. 자신을 보내고, 물심양면으로 지원하여 준 그들에게, 정성스러운 편지와 함께 소식과 마음을 전하며, 방문하여 기쁨을 나누기도 하며, 자신의 사역에 대해 자세하게 보고하는 노력이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보내는 선교사였던 로마의 성도들의 노력이 있었을 것입니다. 자신들의 곁에는 없지만,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떠나간 믿음의 가족, 그 지체를 위하여, 힘을 같이하여 그를 위하여 기도하며, 사역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마음을 다해 섬기는 노력, 그리고 언제나 사도 바울이 돌아왔을 때에, 그를 따뜻하게 맞이하고 기쁨을 나눌 수 있도록, 교회 안에 그의 있을 자리를 만들어 두는 노력이 있었을 것입니다.
교회와 선교사의 관계는 단순한 협력 관계가 아닙니다. 지원자와 피지원자의 관계도 아니며, 교회와 그 대리인과 같은 관계도 아닙니다. 마치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듯한 관계가 되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교회와 선교사는 한 몸입니다. 교회가 곧 선교사이며, 선교사가 곧 교회입니다. 교회는 선교사와 그의 사역에 대해 알아야만 합니다. 그러기위해 선교사는 그것들을 교회에 전해야만 합니다. 그것은 사역을 검사 받고, 평가 받기 위해서가 아닌, 힘을 같이하는 한 몸,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한 몸이기 때문입니다. 그 안에서 함께 기뻐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