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15:35~49
15:35 누가 묻기를 죽은 자들이 어떻게 다시 살며 어떠한 몸으로 오느냐 하리니
15:36 어리석은 자여 너의 뿌리는 씨가 죽지 않으면 살아나지 못하겠고
15:37 또 너의 뿌리는 것은 장래 형체를 뿌리는 것이 아니요 다만 밀이나 다른 것의 알갱이 뿐이로되
15:38 하나님이 그 뜻대로 저에게 형체를 주시되 각 종자에게 그 형체를 주시느니라
15:39 육체는 다 같은 육체가 아니니 하나는 사람의 육체요 하나는 짐승의 육체요 하나는 새의 육체요 하나는 물고기의 육체라
15:40 하늘에 속한 형체도 있고 땅에 속한 형체도 있으나 하늘에 속한 자의 영광이 따로 있고 땅에 속한 자의 영광이 따로 있으니
15:41 해의 영광도 다르며 달의 영광도 다르며 별의 영광도 다른데 별과 별의 영광이 다르도다
15:42 죽은 자의 부활도 이와 같으니 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며
15:43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며
15:44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사나니 육의 몸이 있은즉 또 신령한 몸이 있느니라
15:45 기록된바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 주는 영이 되었나니
15:46 그러나 먼저는 신령한 자가 아니요 육 있는 자요 그 다음에 신령한 자니라
15:47 첫 사람은 땅에서 났으니 흙에 속한 자이거니와 둘째 사람은 하늘에서 나셨느니라
15:48 무릇 흙에 속한 자는 저 흙에 속한 자들과 같고 무릇 하늘에 속한 자는 저 하늘에 속한 자들과 같으니
15:49 우리가 흙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은것 같이 또한 하늘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으리라
지난번 묵상에서 성찬에 대해서 말하면서 얀 후스의 「거위의 꿈」을 말했는데 오늘은 바울이 말하는 부활을 통해서 「민물장어의 꿈」을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고 신해철의 노래 중에 「민물장어의 꿈」이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노래 가사는 「좁은 문」으로 시작하고 그 좁은 문으로 들어가려면 「자기를 깎고 잘라야」 들어갈 수 있다는 노랫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좁은 문이라는 것은 그저 선택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자기를 깎고 잘라야만 들어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수 신해철은 방황하는 가톨릭 신앙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얼핏 보면 안티 기독교로 생각하기 쉽지만 제 개인적으로 그는 기독교 신앙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사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어릴 때 사제로 서원했다고 하더군요.
민물장어와 바다장어를 구별할 줄 아십니까? 연어는 바다에서 살다가 산란기에 강을 거슬러 올라오지만 장어는 그와 반대로 민물에서 살다가 알을 낳기 위해서 바다로 나갑니다. 한국과 일본의 강과 시내에 살던 민물장어는 산란기가 되면 강과 바다가 만나는 경계에서 몇 달을 머무르면서 바닷물에 적응한 후에 수천 킬로의 태평양을 건너갑니다. 괌까지 간다고 합니다. 그 태평양 한 가운데에서 태어난 장어는 다시 아시아 지역의 민물로 들어와 살다가 산란기에 다시 바다로 나가 알을 낳고 거기서 죽습니다. 신해철의 「민물장어의 꿈」이라는 노래의 가사를 먼저 첨부합니다.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나를 깎고 잘라서 스스로 작아지는 것뿐 이젠 버릴 것조차 거의 남은 게 없는데 문득 거울을 보니 자존심 하나가 남았네 두고온 고향 보고픈 얼굴 따뜻한 저녁과 웃음소리
고개를 흔들어 지워버리며 소리를 듣네 나를 부르는 쉬지 말고 가라 하는 저 강들이 모여드는 곳 성난 파도 아래 깊이 한 번만이라도 이를 수 있다면 나 언젠가 심장이 터질 때까지 흐느껴 울고 웃다가 긴 여행을 끝내리 미련 없이 익숙해 가는 거친 잠자리도 또 다른 안식을 빚어 그 마저 두려울 뿐인데 부끄러운 게으름 자잘한 욕심들아 얼마나 나일 먹어야 마음의 안식을 얻을까 하루 또 하루 무거워지는 고독의 무게를 참는 것은 그보다 힘든 그보다 슬픈 의미도 없이 잊혀지긴 싫은 두려움 때문이지만 저 강들이 모여드는 곳 성난 파도 아래 깊이 한 번만이라도 이를 수 있다면 나 언젠가 심장이 터질 때까지 흐느껴 울고 웃으며 긴 여행을 끝내리 미련 없이 아무도 내게 말해 주지 않는 정말로 내가 누군지 알기 위해」